교육과정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전공

전공

국어학특강 STUDIES IN KOREAN LINGUISTICS (3(3))
  국어학사적으로 주요 논쟁 대상이 되어 온 주제들을 모아 그 논쟁 과정을 되짚어 보는 작업을 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지금까지의 국어학 연구에서, 문제를 제기 토론하고, 새로운 방법론을 모색해 온 과정을 비판적으로 재구성해 보고, 학문 발전의 올바른 모형을 탐색한다.
한국현대소설연구 STUDIES IN MODERN KOREAN NOVEL (3(3))
  한국현대소설의 구조, 기법 특질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작품을 올바로 연구 비판할 수 있는 방법을 수립한다.

2006학년도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과 개설
신소설을 기점으로 하여 전개된 한국현대소설사에서 중요한 의의를 갖는 소설적 경향을 탐구하고 한국현대소설 일반의 미학적 구조와 역사적 특징을 연구한다.
한국현대시연구 STUDIES IN MODERN KOREAN POETRY (3(3))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전공 -2006년도 개설)

  한국현대시와 관련한 발생론적 배경과 함께 정신적 양상, 내지는 한국 현대시의 구조와 기법상에 있어서 그 특질과 의미를 작품론의 측면에서 심층적이고도 연맥적으로 감상하고 검토함과 동시에, 무엇보다 한국현대시연구의 방법론적 고찰과 그 가능성을 종합적으로 연구하게 한다.

매체언어교육연구 STUDIES IN TEACHING OF MEDIA LANGUAGE (3(3))
기존의 국어교육이 문자 언어 활동에 주관심을 두었다면, 현대사회에서 중요한 소통을 담당하고 있는 매체를 통해 이루어지는 새로운 언어 활동들에 대한 연구는 국어교육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이에 매체 언어는 국어교육의 중요한 연구 대상이 된다. 본 강좌는 신문, 방송, 영화, 인터넷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나타나는 여러 가지 흥미로운 매체 언어들의 본질을 탐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어교육의 새로운 방향성에 대한 탐구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한국문화교육론연구 STUDIES IN THE METHODOLOGY OF TEACHING KOREAN CULTURE AND LITERATURE (3(3))
 효율적인 한국어 교육을 위해서는 한국문화에 관한 교육도 필수적이다. 본 강좌는 이를 위한 이론적 기초를 닦기 위해, 한국문화의 특징, 한국어문화 교육의 내용과 구성, 한국문화 교육의 현황과 전망 등을 살펴보게 될 것이다.
한국현대문화연구 STUDIES IN KOREAN CONTEMPORARY CULTURE (3(3))
 현대 한국의 건축, 미술, 음악, 영화 등을 통해서 한국 현대문화의 개괄적인 이해와 깊이 있는 연구를 한다.
한국전통문화연구 STUDIES IN KOREAN CLASSIC CULTURE (3(3))
 한국의 전통적인 건축, 미술, 음악, 영화 등을 통해서 한국 전통문화의 개괄적인 이해와 깊이 있는 연구를 한다.
한국어교육실습 PRACTICE OF TEACHING KOREAN (3(3))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을 직접 실습해 봄으로써, 교수법, 교재, 학습자의 어려움 등에 관한 실무적인 지식과 능력을 함양하도록 한다.  
한국어음운론연구 STUDIES IN KOREAN PHONOLOGY (3(3))
 이 강좌는 수강생으로 하여금 한국어의 음소목록과 음운론적 현상에 대해 이해하게 함으로써, 외국인에게 한국어를 가르칠 때 필요한 음운론적 지식을 갖추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한국어문법론연구 STUDIES IN KOREAN GRAMMAR (3(3))
 이 강좌에서는 한국어의 문법에 대한 일반적인 이론과 지식을 익히고, 외국인에게 한국어를 가르칠 때 필요한 특징들을 분석하고 이해하도록 한다. 이를 통하여 한국어의 문법을 외국인에게 쉽게 교수하는 방법을 익히도록 한다.
한국어의미론연구 STUDIES IN KOREAN SEMANTICS (3(3))
 한국어의 어휘와 문장의 의미구조 및 그 사용의 원리인 화용론적 특징을 주로 다룬다. 다의어 동음이의어 반의어 동의어 등과 같은 어휘 의미론의 기본 개념과, 모순 전제함의 등과 같은 문장 의미론적 기본 개념 및 함축 화행 적절조건 등과 같은 화용론적 기본 개념들의 본질과 응용방법 등을 탐구한다.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라는 점을 중점적으로 고려한다.
대조언어학연구 STUDIES IN CONTRASTIVE LINGUISTICS (3(3))
 이 강좌는 수강생으로 하여금 대조언어학에 관한 기본 지식을 갖추게 함으로써, 한국어와 학습자의 언어의 차이를 분석하여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함을 목표로 한다. 
한국어어휘교육론연구 STUDIES IN TEACHING METHODS OF KOREAN VOCABULARY (3(3))
 외국어 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부문인 어휘 교육 방법론을 다루며, 한국어의 어휘형성구조의 원리를 탐구한다. 다양한 단어들 사이의 관계와, 하나의 단어가 가지고 있는 여러 의미 사이의 관계에 대해 중점적으로 탐구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학생들에게 어휘 확장 능력을 효율적으로 배양하게 해주는 교육 방법론을 탐구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한국어교재론연구 STUDIES IN KOREAN TEXTBOOK (3(3))
 이 강좌에서는 주어진 한국어 교재의 체제와 내용을 검토하고 분석함으로써 알찬 수업의 기초를 마련하게 한다. 그리고 기존의 교재를 평가함으로써 교재를 선정하거나 새로운 교재를 편찬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한다.
한국어능력평가론연구 STUDIES IN EVALUATION OF KOREAN FLUENCY (3(3))
 이 강좌에서는 외국어로서 한국어를 구사하는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이론적 기초와 효과적인 방법론을 모색하고, 나아가 수강생들로 하여금 평가문안을 설계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도록 한다.
한국고전문학연구 STUDIES I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3(3))
 한국의 고시가와 고전소설, 한문학의 대표적인 작품들에 대한 이해을 통해서 한국의 고전문학을 개괄적으로 이해하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 배경지식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한국어듣기교육법연구 STUDIES IN METHODOLOGY FOR TEACHING KOREAN HEARING (3(3))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를 배우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언어 교육의 이해 영역에 해당하는 듣기교육에 관한 기본 지식과 교수 방법 등 제반 이론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의 듣기를 효과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한국어읽기교육법연구 STUDIES IN METHODOLOGY FOR TEACHING KOREAN READING (3(3))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를 배우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언어 교육의 이해 영역에 해당하는 읽기교육에 관한 기본 지식과 교수 방법 등 제반 이론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의 읽기를 효과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한국어말하기교육법연구 STUDIES IN METHODOLOGY FOR TEACHING KOREAN SPEAKING (3(3))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를 배우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국어 말하기 능력을 효율적으로 제고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는 분야이다. 일상적 대화뿐만 아니라 전문 분야에서의 브리핑과 토론 등과 같은 분야도 함께 다뤄진다.
한국어쓰기교육법연구 STUDIES IN METHODOLOGY FOR TEACHING KOREAN WRITING (3(3))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를 배우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국어 쓰기 능력을 효율적으로 제고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는 분야이다. 일상적 대화뿐만 아니라 전문 분야에서의 브리핑과 토론 등과 같은 분야도 함께 다뤄진다.
한국어발음교육론 METHODOLOGY FOR TEACHING KOREAN PRNOUNCIATION (3(3))
  일반 음성학과 음운론을 바탕으로 한국어의 음운 구조와 규칙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의 발음을 효과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한국어문법교육론 METHODOLOGY FOR TEACHING KOREAN GRAMMAR (3(3))
  한국어교사라면 반드시 알고 있어야 하는 다양한 범주와 층위의 국어 규범을 탐구하고 학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즉, 음운 층위, 어휘 층위, 문장 층위의 한국어 규범을 두루 탐구, 학습하여 교육적 적용 능력을 기른다.
심리언어학연구 STUDIES IN PSYCHOLINGUISTICS (3(3))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및 그 연구를 위해 언어 사용 및 학습의 심리언어학적 측면에 대한 기본 지식을 닦는다. 또한 심리언어학 관점에서의 외국어 교수/학습 연구 성과를 개관함으로써 심리언어학이 한국어 교육 및 그 연구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 살펴본다. 

사회언어학연구 STUDIES IN SOCIOLINGUISTICS (3(3))
이 과목은 사회언어학의 일반적인 연구방법을 익히고 사회언어학의 연구 동향을 파악하며 사회언어학에서 다루어진 연구 주제를 섭렵함으로써 언어 변화와 변이의 사회적 측면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언어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요인, 변이와 변종에 대한 이해를 일차적으로 추구하며, 한국어를 대상으로 한 사회언어학적 연구들의 정리를 통하여 새로운 연구 주제를 탐색해 가는 과정을 밟는다. 

국어국문학과
이 과목은 사회언어학의 일반적인 연구방법을 익히고 사회언어학의 연구 동향을 파악하며 사회언어학에서 다루어진 연구 주제를 섭렵함으로써 언어 변화와 변이의 사회적 측면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언어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요인, 변이와 변종에 대한 이해를 일차적으로 추구하며, 한국어를 대상으로 한 사회언어학적 연구들의 정리를 통하여 새로운 연구 주제를 탐색해 가는 과정을 밟는다. 
외국어교수법이론연구 STUDIES OF TEACHING METHODS IN A FOREIGN LANGUAGE (3(3))
  이 강좌에서는 외국어 교수법에 대한 일반적인 이론과 지식을 개관하고, 한국어 교육에 필요한 특징적 사실들을 분석하고 이해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서 외국어 교수법을 한국어 교육과 관련지어 연구하며, 나아가 이를 교육 현장에서 효율적으로 활용하도록 한다.

한국어화용론교육연구 KOREAN PRAGMATICS EDUCATION STUDY (3(3))
  화용론은 존대법, 직시(deixis), 직접 화행과 간접 화행, 화용론적 전제, 함축(implicature), 대화 격률(maxims of conversation), 협력 원칙(cooperative principles) 등과 같은 화용적 현상을 연구하는 분야이다. ‘한국어 화용론 교육 연구’는 한국어의 이러한 화용적 현상의 기저 원리나 규칙을 외국인에게 효율적으로 가르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는 분야이다.
한국어사 A STUDY ON THE KOREAN LANGUAGE HISTORY (3(3))
이 강좌의 목표는 한국어의 역사를 개괄적으로 이해하여 한국어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는 데에 있다. 한국어의 역사는 시대적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으며 또한 음운, 문법, 어휘의 측면에서 변화를 고찰할 수 있다. 이 강좌는 특히 한국어어 변화의 일반적 원리에 대한 이해에 중점을 둔다.
응용언어학연구 A STUDY ON THE APPLIED LINGUISTICS (3(3))
이 강좌는 응용언어학의 기본 개념과 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 연구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를 연구한다. 응용언어학은 이론과 실제를 이어주는 기능을 한다는 점에서 응용언어학에 대한 공부는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 연구에 실질적인 도움을 준다.
한국어교육과정론 A STUDY ON THE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3(3))
이 강좌의 목표는 교육과정의 기본 개념과 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검토함으로써, 한국어 교육과정을 설계하고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는 데 있다. 
한국어화용론연구 STUDIES IN KOREAN PRAGMATICS (3(3))
이 과목은 한국어 화용론의 연구성과를 비판적으로 검토해 보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이를 위해 우선 화용론 연구의 이론적 체계를 공부하고, 화용론의 관점에서 언어를 분석하는 방법론에 대해 검토한다. 최종적으로는 학생들이 한국어의 화용구조를 체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 목표이다.
한국문학과콘텐츠 KOREAN LITERATURE AND CONTENTS (3(3))
  이 교과목은 한국문학의 특징과 전개과정, 한국문학의 다양한 콘텐츠, 한국문학의 문화적 성격을 탐구하고, 교육적인 위상과 방향을 검토한다. 한국문학의 다양한 콘텐츠-시, 소설, 영화,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한국인의 문화와 정서를 이해하고, 이를 한국문화교육의 내용으로 구체화한다. 
한국전통적정서의현대적해석 A MODERN INTERPRETATION OF KOREAN TRADITIONAL EMOTIONS (3(3))
  한국의 고전 문학 작품 속에 담겨 있는 한국인의 고유한 정서와 사상을 현대적으로 이해하고 해석함으로써 외국인들이 한국 생활에 적응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